독서

역사학습 지도의 원리와 실제

멋쟁이샘 2016. 3. 14. 16:17

  역사교육은 역사적 사실 그 자체를 바르게 인식한다는 '역사를 교육'하는 면과 역사를 탐구하고 사고하며 통찰하여 현재의 삶을 지혜롭게 이끌어 가게 하는 '역사로서의 교육'의 장 두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다.

  역사를 가르치는 이유는 교사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한 교사가 역사는 과거에 있었던 객관적인 사실의 집성이기에 많은 사실을 습득하기 위해서라고 답변한다면, 다른 교사는 역사는 인간이 되풀이하는 경험의 장이기에 교훈으로서 필요하다고 응답한다. 그런가 하면 어떤 교사는 인간은 사고하는 존재로서 역사적 경험을 자신의 경험으로 인식하여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라고 말하기도 한다.


1. 탐구 학습

  가. 문제의 제기 : 낭독한 시조에서는 무엇을 말하고자 했는가? 왜 싸움을 못마땅해 했는가?

  나. 가설 형성 : 왜 붕당의 대립이 나타났을까? 청치적 갈등이 심하면 나라는 어떻게 될까?

  다. 자료의 수집 : 어떠한 붕당들이 있었는가?  왜 붕당이 생겨났으며, 정통성이 있었는가?

  라. 자료의 확인 : 붕당의 구성원은 주로 누구였던가? 정쟁에서 거론된 의견은 어떠한 것들인가?

  마. 가설의 검증 : 붕당 정치의 의미를 충분히 이해하도록 활발한 토의를 유도하고, 조선 사회에서 그것이 가지는 의의를 확인하도록 교사는 계속 질문한다.

  바. 개념의 도출 : 붕당 정치로 인한 결과는 어떠한가? 정치적 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은 어떻게 진행되었는가?


2. 개념 학습

  가. 도입

      - 학습목표 제시 : 1910년대 식민통치 내용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


3. 사료 학습


4. 인물 학습


5. 연표 학습


6. 지도 학습


7. 극화 학습


8. 시청각 학습


9. 향토사 학습


10. 토의 학습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업을 왜 하지?  (0) 2015.10.16